우리나라 고립 청년이 약 34만 명이라는 청년재단의 연구보고서가 발표됐다. 청년재단은 고립 청년을 ‘사회적 관계 및 지지체계 등 사회적 자본이 모두 결핍된 청년’으로 정의했으며, 그중 외출 없이 제한된 공간에서 단절된 채 살아가는 청년은 ‘은둔 청년’으로 분류했다.

과거에는 사회적 고립이 노화로 인해 사회 및 경제활동이 어려운 초고령 사회 속 노인 문제로만 여겨졌지만, 최근 청년들의 사회 진출 어려움과 1인 가구 증가가 맞물려 생애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청년들의 고립도가 점점 늘어나는 이유는 다양하다. 국무조정실이 발표한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년들이 고립·은둔생활을 시작한 계기로 실직이나 취업 문제와 심리·정신적 어려움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성적 제일주의에 따른 서열화, 학교폭력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고립·은둔생활을 택하는 청년들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고립이 개인의 나약함이 원인이 아니라 구조적 차별의 결과임을 보여준다. 부족한 일자리와 일상의 안전망이 부재한 청년들은 실업, 정신적 어려움, 중요한 사람과의 관계 단절 등의 사건을 경험하면서 점차 고립되어 간다.

따라서 청년들의 고립·은둔생활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로 치부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청년들이 고립과 은둔 생활에서 벗어나 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연구가 함께 논의되어야 하며, 사회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포괄적인 지원체계를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

서울과 광주, 대전을 비롯한 지자체 15곳은 정부보다 앞서서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실태조사를 마치고 이를 토대로 은둔형 외톨이나 고립된 청년의 지원 조례를 제정해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뒤늦게 지난 7월에야 전국 은둔 청년의 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했으며, ‘약자 복지’를 강화한다는 취지로 내년에는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올해보다 34억 원을 늘린 3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담 기관·인력을 통해 적극적으로 고립·은둔 청년 대상자를 발굴·유형화하고, 사회복귀·재적응을 위한 개인별 맞춤형 사례관리도 통합 지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평택시는 고립·은둔 청년들을 위해 어떤 대책을 세웠을까. 안타깝게도 시는 현재 관내에 있는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정확한 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와 단절된 채 집안에 고립돼 있던 청년들이 조사를 위해 밖으로 나올 가능성이 낮아 관련 사례나 청년들을 발굴하기 어렵다는 게 첫 번째 이유이고, 조사 및 발굴 인원도 부족해 전문성을 가진 조사인력을 많이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게 두 번째 이유였다.

그러나 해당 시 관계자는 시 차원에서 고립 청년 발굴 및 지원 대책은 어렵지만, 경기도 차원에서 고립 청년들을 위한 지원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며, 내년에는 국가 주도 사업으로 고립 청년들을 위한 지원 정책이 시행돼 시는 이에 따른 사항을 지켜보고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기회에 정부와 지자체는 가능한 한 많은 고립·은둔 청년들을 발굴하고 구체적인 조사를 통해 그들이 왜 고립과 은둔을 택했는지 그 이유와 실태를 명확하게 조사해 파악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청년들을 위한 사회안전망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촘촘하게 짜 그들을 위한 한 줄기 빛이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평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