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6.1 지방선거를 통해 국민들의 성숙한 정치의식이 재차 확인됐다. 과거처럼 정당을 보고 후보자에게 몰표를 주기보다 교차 투표를 통해 지역에 더 도움이 될 만한 후보를 선택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반대로 정당과 정치인들의 정치의식은 이전보다도 한 단계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여당과 야당 모두 ‘지방정치’에 초점을 두어야 할 지방선거를 중앙정치와 연관 지어 ‘안정론’ 또는 ‘견제론’을 들고 나왔으며, 일부 당에서는 지역 연고도 없는 특정 후보를 자신들의 텃밭에 전략 공천하는 등 그야말로 ‘지방선거답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정권교체 이후 얼마 안돼 치러진 선거였기 때문에 정당과 후보자들이 충분히 냉정함을 찾지 못한 것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후보자들이 지역 현안에 대해 관심을 갖고, 그것에 대해 언급하기보다 ‘철지난 심판론’을 주장하거나, 취임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대통령을 걸고넘어지며 ‘견제해야 한다’고 하는 것은 문제 소지가 크다. 

어쩌면 대다수의 시민들은 이번 선거에 있어 지선이 아니라 ‘대선 season2’를 치루는 것 같은 느낌을 가졌을 것이다.

다행히 투표한 시민들은 ‘대선 season2’를 바라는 정치권의 의도에 휘둘리지 않고 교차 투표 등을 통해 자기 지역에 도움이 될 후보를 선택했다. 국민의힘 김은혜 경기도지사 후보의 득표율이 높았던 평택·안성지역에서 각각 더불어민주당 시장이 당선된 것이 이를 증명한다. 

이처럼 시민들의 정치의식은 점차 성장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정치권은 시민들에게 실망감을 주었고 이는 50.9%라는 저조한 투표율로 반영됐다. 직전 7회 지방선거가 무려 투표율 60.2%에 달했던 것을 생각하면 정치권에 대한 실망이 꽤나 크게 작용한 것이다.

물론 지방정치와 중앙정치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지방의 큰 사업들은 중앙정치의 협조가 없으면 이뤄지기 어렵기 때문에 후보자들이 중앙정치와의 연계를 강조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다만 정도가 과했다. 

지방선거는 지방정치를 1순위로 두어야 한다. 지방선거는 지역의 현안을 파악하고, 지역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일꾼을 뽑는 선거지, 이전 정권에 대한 심판, 또는 현 대통령을 견제하기 위한 선거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제 다음 지방선거는 4년 후인 2026년에 치러진다. 다음 지선 때는 정치권 역시 시민들의 높아진 정치의식에 발맞추어 제대로 된 지방선거가 치러지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평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