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에서 경기도는 8개 선거구가 늘어난 60개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을 배출한다. 여기에 비례대표를 가산하면 숫자는 늘어난다. 서울지역 49개 선거구보다 11석이나 많고 인천의 13석을 합치면 73석이나 된 다.

  전국 16개 광역시와 도 가운데 의석수가 가장 많은 것이다. 그러나 의석수 만큼이나 경기도의 위상에 맞는 역할과 기능, 제도 면에서 대우를 받는지는 의문이다. 허울만 좋을 뿐이다. 경기도는 우선 인구면에서 서울의 1천만보다 거의 3백만 명이나 많다.

  산업 규모는 대한민국 총량의 30%를 육박하고 있다. 한국이 세계 10위권이라는 경제여건의 핵심 물량이다. 지난해 수출입 규모가 1천억 불을 넘어 서울을 압도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서울을 에워싸고 울타리 역할을 하고 있으면서 북한과 대치하는 최전방 접적지에 위치해 치안이나 국토방위에 최일선에 자리하고 있다.

  지정학적으로도 남북을 아우르는 한반도의 중심적 핵이다. 행정적으로 도·농·수산에 이르기까지 복합기능을 갖고 있는 외에 첨단산업 기지가 촘촘히 들어서 미래 한국의 표상이다. 경기도를 떼어놓고는 한국의 미 래를 거론할 수 없는 환경이다.

  이 같은 위상을 갖고 있으면서도 역대 정권에선 홀대다. 나쁘게 말하면 의도적인 홀대다. 경기도의 역할이 커질 경우 정치 판도는 지금과는 달라질 수 있다. 영·호남의 끈질긴 지역 색에서 벗어날 수 있지만 경기도의 인맥을 키우지 않는다는 속설이 지배적이다.

  총선 때마다 관심은 영·호남의 대결 판세다. 80~90%의 몰표로 영· 호남은 공천권만 얻으면 거의 의원직은 따놓은 당상이다. 그러나 경기도는 지역별로 여·야의원이 고르게 배출된다. 경기도 출신이 아니더라도 정치 인들의 놀음텃밭이다. 지역 풍토나 색깔론이 없는 무풍지대다.

  때문에 경기 지역 선거엔 정치적 관심사조차 없다. 이는 지자체 단체장이나 도의회·시· 군 의회도 마찬가지다. 이러다 보니 지역 현안이 쌓인다. 힘의 논리에 밀려 해결도 안 된다. 여야 간의 대립이 심화 되고 경기도적인 응집력은 바닥 이다.

  지역에 대한 애착 정신도 마찬가지다. 떠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도민들이 스스로 자초하는 모래알 풍토라는 지적이다. 아직도 경기지사는 서울시장 등이 참석하는 각료 회의조차 참석하지 못하고 있다. 6대 권력기관의 경기도 출신 인사들의 입각 사례는 눈을 씻고 찾아봐야 한다.

  늘어나는 국회의원 숫자보다 위상정립이 먼저다. 이번 선거에서 경기도 위상을 세울 후보자들을 찾아보자.

저작권자 © 평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