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청 공원 녹지과장 및 진위면장 퇴직
성균관 유도회 평택지부 한문전임 강사
평택시립도서관, 안중도서관, 평택남부노인 복지회관,
팽성노인 복지회관 등에서 10년간 한문 강의 (과목: 동
몽선습, 사자소학, 소학, 대학, 논어, 맹자, 중용, 한문
문법, 고사성어 등)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의 뜻은 “가혹(苛酷)한 정치(세금징수)는 호랑이 보다 더 사납다”는 뜻으로, 가혹한 정치 즉 가혹한 세금을 거두어들이는 것의 폐해(弊害)를 비유(比喩) 하는 말로서 “예기(禮記)의 단궁편(檀弓篇)”에서 유래된다.

  중국의 춘추시대(春秋時代)에 공자가 출생한 노(魯)나라의 대부(大夫)인 계손자(季孫子) 는 백성들에게 세금을 가혹하게 거둬들여 엄청난 부(富)를 누리고 있었다.

  어느 날 공자는 노(魯)나라의 정치에 환멸(幻滅)을 느껴 제자들과 함께 수레를 타고 제(齊)나라로 가던 중 태산(泰山) 근처에 이르렀을 때, 깊은 산속 어디선가 여인네의 슬픈 울음소리가 들려와 이상히 여겨 울음소리를 따라가 보니 풀숲 사이에 무덤이 세개가 있는데 그 앞에서 한 여인이 울고 있었다.

  공자 일행은 수레를 멈추고 제자인 자로(子路)로 하여금 우는 까닭을 물어보게 하였다, 예기(禮記)의 단궁편하(檀弓篇下)에 보면 자로로 하여금 그 여인에게 물어 말하기를(使子路 問之曰; 사자로 문지왈) "그대의 통곡은 한결같이 거듭(중대한) 슬픔이 있는 거 같습니다(子之哭也 壹似重有憂者; 자지곡야 일이중유우자).” 하니 그 여자가 대답하며 말하기를 "그렇습니다(而曰 然; 이왈 연), 옛날에 우리 시아버님이 호랑이에게 물려죽고(昔者 吾舅死於虎; 석자 오구사어호), 우리 남편도 또 호랑이한테 죽었고(吾夫又死焉; 오부우사언), 이제 우리 아들마저 또 호랑이한테 죽었습니다(今 吾子又死焉; 금 오자우사언).”하며 통곡 하였다. 그러자 자로가 말하기를 "어찌하여 이곳을 떠나지 않고 삽니까?(子路曰 何爲不去也; 부자왈 하위부거야).”하니 여인이 말하기를 “이곳은 가혹한 정치(세금)가 없습니다(曰無苛政也; 왈무가정야).”하고 대답하였다. 그 당시 노나라에서는 계손자라는 대부가 가혹한 세금을 거두어들여 백성은 살기 어려워 깊은 산속에 들어가 농사를 짓고 있었는데 호랑이가 시아버지, 남편, 아들을 차례로 물어 죽여 무덤이 세 개가 있고 그 무덤 앞에서 통곡하 고 있다고 자로는 공자에게 경과보고를 하였다. 공자는 이 이야기를 듣고 제자들에게 말하기를 "이것을 들어봐라(夫子曰 小子 聽之; 부자왈 소자 청지), 가혹한 정치(세금)는 호랑이보다 무섭다(苛政 猛於虎; 가정 맹어호).”라고 말했다. 여기서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라는 고사성어가 유래된 것이다.

   비슷한 말로 가렴주구(苛斂誅求)가 있다.

  가렴주구(苛斂誅求)는 춘향전(春香傳)에 나오는데 암행어사 이몽룡이 남원 변사또에게 쓴 시(詩)를 보면 변사또가 가렴주구한 글이 나온다.

   이몽룡의 시 내용은 “금준미주 천인혈(金樽美酒 天人血; 금으로 만든 술통의 좋은 술은 백성의 피요)이요 옥 반가효 만성고(玉盤佳肴 萬姓膏; 옥쟁반에 좋은 안주는 만백성의 살이라)라

  촉루낙시 민루락(燭漏落時 民淚落; 잔칫상에 촛물이 떨어지는 것은 백성의 눈물이요)이요 가성고처 원성고(歌聲高處 怨聲高; 노랫소리 높은 곳에 백성의 원망하는 소리가 크니라)니라.“ 하였다.

  아무리 돈 많은 재벌이라도 세금을 많이 부과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세금은 적법하고 공정하게 부과해야 불평이 없게 마련이다. 소득이 적은 사람에게 소득이 많은 사람보다 세금을 더 부과한다면 공정하지 않아 자연 불평하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나 국세청에서는 소득이 누락되지 않도록 철저히 조사하여 탈세를 막고, 따라서 세수를 증대할 수 있다고 보며 가정맹어호가 될 수 없을 것이다.

漢字뜻풀이
  苛 가혹할 가, 政 정사 정, 조세 정, 猛 사나울 맹, 於 비교(~보다) 어 조사 어. 虎 호랑이 호, 子 그대 자, 哭 울 곡, 壹 하나 일, 似 같을 사, 憂 근심(슬픔) 우, 昔 옛날 석, 舅 시아비 구, 夫 남편 부, 又 또 우, 去 떠날 거, 斂 거둘 렴, 誅 꾸짖을 주, 樽 술통 준, 盤 쟁반 반, 佳 좋을 가, 肴 안주 효, 膏 살찐살 고, 燭 촛불 촉, 漏 샐 루, 淚 눈물 누, 處 곳 처, 怨 원망할 원

저작권자 © 평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