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맞벌이 부부의 연말정산 노하우

  ○ 맞벌이 부부의 경우, 소득이 많아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배우자가 생계를 같이 하는 직계존속·자녀·형제자매 등 부양가족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으면 절세효과가 커집니다. 다만, 특별세액공제 중 최저사용금액이 있는 의료 비(총 급여의 3%), 신용카드 소득공제(총 급여의 25%)는 총 급여가 적은 배우자가 지출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도 있습니다.
  * 직계존속·형제자매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장인·장모, 시부모 등) 및 형 제자매(처남, 시누이 등)도 포함합니다.

  ○ 자녀세액공제(1명 15만원, 2명 30만원, 3명 50만원)는 기본공제 받는 자녀 수로만 계산하므로,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부부가 적용되는 세율이 같다면 한 명이 몰아서 기본공제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 맞벌이 부부는 서로에 대한 공제를 받을 수 없으나, 의료비는 예외적으로 배우자를 위해 본인이 지출한 금액만큼 의료비 세액공제 가능합니다.(단, 배우자는 동일금액에 대해 의료비 중복 공제 불가능)

  ○ 맞벌이 부부가 주의해야 할 연말정산
  - 부양가족에 대한 소득·세액공제는 맞벌이 부부 중 1인만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 부양가족의 교육비·의료비·신용카드 등 사용액에 대한 공제도 부부 중 기본공제로 신청한 1인만 공제 가능합니다.
  - 맞벌이 부부가 가족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결제자 기준이 아닌 카드사용자(명의자) 기준으로 신용카드 공제 가능합니다.

TIP 지금도 늦지 않았어요

   ○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를 더 받고자 하는 경우,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합계액이 최저사용금액(총 급여액의 25%)에 도달할 때까지는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최저사용금액을 채우는 것이 유리합니다.

   ○ 신용카드 사용금액이 최저사용금액을 초과하였다면 연도 말까지는 직불 (체크)카드를 집중적으로 사용하거나, 전통시장 또는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면 30%의 높은 공제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전통시장 및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면 공제한도 300만 원을 초과한 경우 추가로 100만 원씩을 더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연말에 개정된 직불(체크)카드·현금영수증 증가 사용액에 대하여 추가로 10%를 공제받기 위한 요건은 모두 근로자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을 기준으로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조금이라도 혜택을 더 받기 위해서는 근로자 본인 명의의 직불카드 등 사용액을 늘리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대상 : 2014년 신용카드 등 연간 사용액금액이 2013년보다 많이 사용한자 추가사용금액 : 2014년 하반기 직불카드·현금영수증 사용액이 2013년 사용분의 50% 초과분

  ○ 무기명 선불식 교통카드(T-머니, 캐시비, 팝카드 등)의 경우 카드회사 누리집에서 카드번호를 등록(실명등록)하여야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소득공제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실명등록한 날부터 공제가능하며, 근로자의 자녀가 어린이·청소년 카드로 등록한 경우 근로자(보호자)가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에서 미성년자 자료제 공동의 신청을 하면 조회가 가능합니다.

  ○ 연말까지 가입하면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절세 금융상품
  - 연금계좌에 가입하면 최대 400만 원의 12%까지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 중도해지하거나 인출하는 경우에는 기타소득세(12% 또는 15%)를 부담해야 하므로 주의
   - 총급여 5천만원 이하의 근로소득만 있는 근로자는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에 가입하여 연간 6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240만 원(600만 원×40%)까지 소득공제 가능합니다.
   * 5년 내 중도해지 시 납입 누적액의 6%를 해지가산세로 추징하므로 주의
   - 무주택 세대주가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면 연 납입액 120만 원 이하의 금액에 대하여 40%를 소득공제합니다.
  * 금융회사에 무주택확인서를 제출한 경우에 한하며 중도해지 시 납입액의 6%를 해지가산세로 추징하므로 주의, 내년부터 240만 원으로 확대 예정임.

  오늘은 2014년 귀속 연말정산에 대해서 안내해드렸는데요. 연말정산 시 각종 공제 항목을 꼼꼼히 챙겨 누락 없이 공제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수 또는 고의로 과다하게 공제받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됩니다.

저작권자 © 평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