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 2월부터 안성천을 친환경적인 생태하천으로 만들고자 총 사업비 약 159억 원이 책정된 ‘안성천 생태하천 조성사업’이 시작됐다.
평택시 유천동 경부선 철도교부터 안성시 대덕면 죽리 한천 합류부까지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서 공사를 시행한지 벌써 3년이 지났다. 
친환경적인 생태하천을 조성한다며 현재까지 서울지방 국토관리청이 진행한 공사는 하천의 토사, 골재 등 발생된 사토량 240만㎥ 가운데 대부분을 평택미군기지 조성공사현장과 평택도로공사현장, 평택자전거도로공사현장으로 반출한 일이 전부였다.

사토량 240만㎥의 90%이상, 평택시로

2009년부터 안성천 생태하천 공사를 통해 발생한 사토량 90%이상 대부분은 평택으로 빠져나갔다.
반출장소는 영인~청북간 도로사업 토사지원(90만㎥), PARCEL-2B 1공구 현장(62만㎥), PARCEL-2B 2공구 현장(35만㎥), PARCEL-K 공사현장(17만㎥), 팽성~오성 도로건설공사 현장(13천㎥), 오성~청북 도로건설공사 현장(18천㎥), 평택호~진위천 간 자전거도로공사 현장(23천㎥) 등으로 미군기지조성사업과 평택시 도로공사장과 자전거도로공사현장으로 투입됐다. 발생된 사토량 총 240만㎥ 가운데 90% 이상이 평택시로 반출됐다.

농사를 짓기 위한 흙을 원했던 안성시민은 소외

현재 안성천 생태하천 조성공사가 이뤄지는 구간은 ‘국가하천’으로 지정되어 국토해양부 산하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곳이다.
행정구역상 안성시에 속해있는 곳으로 안성천 인근지역 안성시 미양면 신계리, 하신계리, 진촌리, 계정리 등 마을주민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곳은 안성시가 ‘과채류 정보화마을’이라는 농촌테마마을로 지정해 체험학습장으로도 소개되고 있는 지역이다.
FTA로 인한 수입농산물 개방과 더불어 국내 쌀 소비량 감소 등으로 마을주민들은 수익성이 없는 벼농사를 대신해 농가소득에 도움이 되는 고소득 작물을 재배하고자 시설하우스화<벼를 심는 논을 객토해서 지반을 높여 고소득 작물(콩, 고추, 오이 등)을 심을 수 있게 변경>를 진행 중이다.
문제는 흙이었다. 현재까지 신계리를 비롯한 안성천 주변마을의 농지면적은 대략 40만평. 시설하우스가 설치된 면적은 신계리 지역 약 5만평, 하신계리 지역 7~8만평 등 전체 농지면적의 30%정도다.
현재 안성천 생태하천 조성사업은 계속되고 있으며 발생된 사토는 거의 타 지역으로 유출되고 있다. 이에   안성주민들은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서 발생하는 ‘사토’를 농사를 위해 쓰게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주민들에게는 아무런 혜택이 주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은“공문 보내라”, 안성시는“안 되는데 왜 하느냐”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관계자는 현 상황에 대해 “주민들 개개인이 원한다고 (사토를) 다 줄 순 없지 않느냐”며 “공익적인 목적으로 현재까지 안성시에서 직접적인 공문을 요청한 적이 없어 주민들의 요구를 들어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어 “공사가 시작되었을 당시에 공사시공계획서 상 사토량의 대부분은 평택시로 반출될 예정이었다”며 “안성시에서 공익적인 성격을 띤 사업에 사용하겠다는 공문을 보내면 최대한 긍적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안성시에서는 “지난 2월경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을 직접 방문해 부정적인 답변을 받았는데 공문을 보낸다고 달라지겠느냐”며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부터 끊임없이 농촌테마마을 조성사업과 연계해서 안성천 주변 마을주민들이 토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청했지만 안성시청은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의 부정적 입장으로 주민들의요청이 어렵다고 전했다. 이래저래 주민들만 발을 동동 굴리는 상황이다. 
신계리 주민 S씨는 “안성 땅에 살고 있는 주민들은 상수도보호규제지역에 살고 있어서 여러 가지 규제를 받고 있다”며 “제조업은 규제 때문에 안 되고, 농사짓기 위한 하우스시설도 제대로 설치하지 못해 이중고통을 겪고 있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저작권자 © 평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