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지난 1월 30일부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한 가운데 지난 20일부터는 대중교통에서의 마스크 착용의무도 ‘필수’에서 ‘선택’으로 바뀌었다. 

이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이 국내에 창궐한 이후 약 3년 만의 조치로 이제는 병원·약국·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마스크 착용의무 해제만을 남겨둔 상태다.

코로나19가 유행한 지난 3년 동안 평택시 지역사회에서는 많은 일들이 있었다.

2020년 1월 26일 첫 번째 평택시민 확진자가 발생하고 WHO(세계보건기구)에서 ‘팬데믹’을 선언한 당해 3월에는 전국 최초로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무료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4월부터는 해외입국자 전용 격리시설을 별도 운영한 것이다.

또한, 본격적인 2차 유행이 시작된 2020년 8월에는 보건소 공무원 7명을 수습역학조사관으로 임명, 2021년 11월 2명의 일반임기제 역학조사관을 신규 채용하는 등 평택시 자체 역학조사 역량 강화를 위한 대책 등을 실시해 왔다.

이 결과 2023년 1월 기준, 전국 일반역학조사관 총 39명 중 평택시에서 5명의 역학조사관이 배출되는 성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비록, 코로나19 3년이 시민들의 소중한 시간과 지역사회의 활력을 앗아 갔지만, 지자체 차원에서의 위기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촉진제’ 역할을 한 셈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또 하나를 몸소 배운 것이다.

모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민 10명 중 7명은 ‘방역에 대한 경각심과 타인에 대한 배려를 위해 마스크 착용이 전면 해제되기까지 3밀(밀폐·밀접·밀집) 환경에서의 개인 방역은 철저히 지켜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민들이 마스크 착용을 준수한 것은 정부에서 ‘강제’했기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 셈이기도 하다.

현재 감염취약시설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의 마스크 착용의무는 해제됐지만, 정부 및 각 지자체는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

현재도 1만 명을 웃도는 일일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지난 3년간 쌓이고 쌓여 저장된 방역 데이터 등을 활용한 체계적인 방역 시스템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

이제는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지 않고, 소 잃기 전에 외양간을 리모델링해야 할” 차례이다.

저작권자 © 평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