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에 나오는 비유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비유는 아마 ‘돌아온 탕자’에 대한 비유일 것이다(누가복음 15:11-32). 아버지에게 두 아들이 있었다. 둘째 아들이 아버지를 찾아가 어차피 돌아가시면 주실 유산을 미리 나누어 달라고 떼를 쓴다. 그리고 그 재산을 받아 먼 타국에 가서 흥청망청 써버린다. 

 
있는 재산을 모두 탕진하고 끝내 알거지가 된 둘째 아들. 그는 유대인들이 가장 부정하게 여기고 꺼려하는 돼지농장에 가서 일하게 된다. 
먹을 것이 없어 돼지가 먹는 열매까지 탐내던 아들은 생각한다. “내 아버지는 일용직 노동자들에게조차 풍족히 품삯을 줘서 살게 하였는데 나는 여기서 굶어 죽게 생겼구나.” 그는 이렇게 비참하게 살다 굶어 죽을 바에야 차라리 염치불구하고 아버지께 돌아가 품꾼 중 하나로 받아 달라고 간청하기로 한다.
 
그가 고향으로 돌아온 그날, 마을 어귀에 둘째 아들이 들어선 것을 아버지가 먼저 발견한다. 집 떠난 자식이 언제나 돌아올까 늘 시선을 마을 어귀에 두고 살았던 아버지이다. 아버지는 비참한 몰골로 마을로 들어오는 아들의 모습이 못내 처연하여 기다리지 못하고 달려가 그를 껴안는다. 아들이 준비한 말을 다 끝내기도 전에 아버지는 그를 품꾼이 아닌 아들로 받아준다. 
 
그날 아버지는 큰 잔치를 벌였다. 하루 일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오던 큰 아들은 왁자지껄 풍악소리에 놀라 집안 하인을 불러 묻는다. 자초지종을 다 들은 큰 아들은 머리끝까지 화가 나서 집안에 들어가지 않는다. 아버지가 그 사실을 알고 큰 아들에게 와서 들어가자고 말한다. 큰 아들은 아버지에게 불평을 쏟아 놓는다. “제가 여러 해 동안 아버지 가산을 돌보며 살았는데 언제 제게 염소새끼라도 잡아 주신 적이 있었습니까? 그런데 아버지 살림을 창녀들과 함께 삼켜 버린 저 자식이 돌아오니 살진 송아지를 잡아주시다니요!” 
 
어찌 보면 큰 아들의 불평은 당연한 듯이 보여 진다. 그러나 그것은 아비의 깊은 마음을 다 헤아리지 못한 것이다. 아버지는 말한다. “얘야, 너는 정말 몰랐니? 내게 가진 재산은 어차피 모두 너의 것이야. 다만 너의 동생은 마치 죽었다가 다시 살아온 것 같고, 잃어버렸다가 다시 찾은 거나 마찬가지야. 그러니 우리가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니?” 
 
이 탕자의 비유는 예수께서 바리새인들에게 하신 말씀이다(누가복음 15:1-2). 그들은 예수님이 왜 죄인들을 가까이 하시는지 불만이 많았다. 그들은 예수님이 저렇게 죄인들을 받아들이면 그동안 우리가 가르쳐온 것들은 다 틀렸다는 것인가? 죄를 지어도 아무 상관없다는 말인가? 
 
이에 대한 대답으로 예수님은 세 가지 비유 중 하나로 탕자의 비유를 든 것이다. 그들이 죄를 지어도 괜찮은 것이 아니라, 죄를 지어 소망 없던 사람이라도 하나님께 회개하고 돌아올 때의 기쁨은 아주 별다른 것임을 일깨운 것이다. “(눅 15:7)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와 같이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늘에서는 회개할 것 없는 의인 아흔아홉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는 것보다 더하리라”
 
비유 속에서 큰 아들을 달래며 한 아버지의 마지막 말 속에서 미처 다 표현되지 못한 말을 담아본다. “큰 아들아, 만약 나에게 상처를 주고 떠나버렸던 그 탕자가 다른 사람이 아닌 바로 너였더라도 나는 지금과 똑같이 했을 거야. 왜 너는 그것을 모르니?”
 
비유는 갑자기 끝을 맺는다. 집 안에서 들리는 즐거운 풍악소리를 뒤로 한 채, 어두운 집 밖에서 들어가지 않으려는 큰 아들을 달래는 아버지의 모습으로. 
저작권자 © 평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