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빠르게 변화하는 컴퓨터와 인터넷과 관련한 다양한 용어와 개념들을 많이 들어봤지만 그게 무슨 뜻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블록체인이란 말도 일반인들은 들어는 봐도 생경한 단어일 수 있다. 그러나 전자화폐, 디지털화페, 클라우드 등 익숙한 단어 뒤에 숨어있는 핵심적인 IT기술이 있으니 바로 블록체인이다.

  블록체인은 2008년 10월 31일 암호화 기술 커뮤니티에 나카모토 사토시가 쓴 '비트코인:P2P(Peer-to-peer; 피투피는 개인들이 직접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 전자 화폐 시스템'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시작된다.

  나카모토는 자신의 논문에서 P2P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이중지불(double-spending)을 방지하는 방법을 보여주었다. 이중지불은 같은 돈을 두 번 쓰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내 지갑에 만원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 돈으로 만원 상당의 점심을 사먹으면 내 지갑이 비게 된다.

  그런데, 만원이 전자 화폐라면 그 상황은 다르다. 전자 화폐는 지폐와 같은 물리적 실체가 없는 컴퓨터의 데이터(숫자 0과 1의 조합)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쉽게 복제 할 수 있다. 그리고 원본과 복제본은 차이가 없다.

  PC에서 컴퓨터 파일을 복사해서 붙여 넣는 것처럼 돈을 다시 복제 할 수 있는 것이다. 무한정 복제 할 수 있는 돈은 화폐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전자 화폐를 돈으로 사용하려면 데이터를 복제할 수 없도록 방법을 만들어야한다.

  나카모토는 논문 발표 후 약2개월 후인 2009년 1월 3일에 논문에서 이중지불을 방지하기 위해 소개한 기술을 비트코인(Bitcoin)이라는 가상 화폐로 구현했다.

  비트코인은 10분마다 새로운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새 블록(block: 블록은 유효한 거래 정보를 묶어놓은 것인데, 하나의 블록에는 계좌이체 정보 같은 여러 거래정보를 포함한다)이 생성되고 기존 블록에 연결(chain)되는 방식을 갖고 있다.

  또한 새로운 거래 세부 사항을 포함하는 새로운 블록은 네트워크 참여자의 절반 이상이 동의하는 경우에만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인식될 수 있다.

  비트코인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 3자의 개입 없이 거래내역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블록체인은 블록(Block)과 체인(Chain)의 합성어다. 비트코인의 예처럼, 거래내역은 블록에 포함되고 검증이 완료된 블록을 체인처럼 연결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원장(ledger)시스템이다.
 
  여러 컴퓨터에 저장이 되므로 해당 내역을 확인하기도 쉽고 해킹도 예방할 수 있다. 어찌 보면, 블록체인은 전 세계의 컴퓨터를 모아서 하나의 컴퓨터처럼 실행이 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며 데이터의 충돌 및 보안을 처리해준다.

  새로운 기술로 등장한 블록체인은 이미 현실 화폐로 통용되는 비트코인이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클라우드 기술이 적용되는 모든 곳에 그리고 언제든지 존재한다. 우리의 일상속에는 보이지 않지만 블록체인이 이미 깊게 자리잡기 시작했다.

저작권자 © 평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