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4차 산업혁명이 산업계 의 주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4차 혁명이 사회·경제 구 조 전반에 걸쳐 산업혁명에 버금 가는 수준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많은 학자들이 예측하고 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은 향 후 세계가 직면할 화두로 4차 산업 혁명을 제시하였고, 이후 이 용어 는 일반인들까지 유행어처럼 회자 되었고 여러 분야에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4차 산업혁 명의 핵심은 연결(connectivity)이 다.

  즉 기존의 디지털, 물리적, 생 물학적 영역의 단절되어있던 분야 들의 경계를 넘어 각각의 분야 간 연결을 통해 발전해나가는 ‘기술혁 신’의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다. 이전의 3차에 걸친 산업혁명의 변화를 보면 1780년대 1차 산업혁 명은 ‘증기기관 발명’에서 비롯되 었으며, 수공업시대에서 기계가 물 건을 생산하는 기계화시대로의 변 화를 가져왔고, 1880년대 2차 산 업혁명은 ‘전기’에 의해 촉발되었 으며,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대량생 산체계를 구축하였다.

  3차 산업혁 명은 전자 및 반도체 기술을 통해 자동화 시대로의 전환과 함께 인터 넷 등장으로 인한 정보기술시대를 개막시켰다. 이제 4차 산업혁명에 서는 이전의 각 산업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대량의 정보를 바탕 으로 기술이 융복합되고, 로봇이나 인공지능(AI)을 통해 실재와 가상 이 통합되고 사물을 자동적, 지능 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구 축이 기대되는 산업상의 변화를 가 져올 것이다. 세계경제포럼은 4차 혁명을 주도하는 혁신기술로 인공 지능, 로봇, 사물인터넷(IoT), 3D 프린팅, 나노기술, 바이오기술, 신 소재기술, 에너지 저장기술 등을 지목했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기술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 단말, 빅데이터, 드론, 자율 주행차 등의 산업이 확산되고 있다 고 보았다. 과거 산업혁명을 일으켰던 기술 들은 사회와 경제 전체로 확산되기 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으나 4차 산 업혁명의 주요 기술인 정보통신 관 련 기술은 비교적 빠른 확산이 가 능하며, 기술 혁명과 더불어 산업 구조 및 경제 그리고 노동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는 지식기반제조 기업 및 지식기반서비스 기업이 집적되어 혁신수요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경기도의 5대 지식기반 제조업(전 자정보기기, 메카트로닉스, 생물, 정밀기기, 환경) 및 4대 지식기반 서비스업(연구개발, 컨설팅, 영화 방송, 문화)의 규모는 종사자 68만 명, 국가 R&D투자금액 4,700억 원에 해당하며, 이는 각각 전국의 49.8%, 20% 수준에 해당된다.

  2030년 경기도 산업생산 구조 전망결과, 지역경제의 서비스화 추 세에도 불구, 제조업의 고용비중은 2020년 30.3%, 2025년 28.4%, 2030년 28.7%를 차지할 것이며, 제조업 부분의 급격한 고용비중 감 소는 일어나지 않아 제조업의 역 할은 지속될 전망으로 제조업 부분 에서의 부가가치 생산액의 비중이 40%를 초과할 전망이다. 특히 경기도는 국내 로봇 기업 의 40%가 밀집한 로봇 산업의 중 심지로, 로봇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로봇 산업은 기존 제 조업 공정의 효율화와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기업의 경쟁력 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는 중요 산업이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기존의 제조업은 IoT 등 디지털 기술 및 플 랫폼 비즈니스와 같은 새로운 사업 형태와 결합되어, 스마트 공장 등 제조 공정의 혁신과 IoT 제품기반 의 서비스로 변화되고 있다. 경기도가 제조기반 인프라에서 제조업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서 는 고 부가가치의 제품의 생산 및 제품의 질을 위한 노력이 시급하 다. 이를 위해 기존의 전통적인 제 조업과 서비스업도 IoT, 스마트 공 장,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등의 4 차 산업혁명 혁신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의 고용창출 및 부가가치 증대가 절실히 요구된다. <참고문헌> 1. 한정숙 외 1인,“경기도 지식 기반 산업의 정부 R&D 집적도 분석”, 경 기과학기술진흥원 2. 이은민 저,“4차 산업혁명과 산업 구조의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저작권자 © 평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